[답사기행] 추사유배지에서2
추사적거지에서2제주 귀양살이 5년 차 추사세상이 권세와 이익만 따라 돌 때잊혀진 스승 잊지 않고중국에서도 귀한 신간서적을 구해온 제자 이상적추사가 제자에게 답장한 그림과 편지‘세한도(歲寒圖)’‘날씨가 차가워진 뒤에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늦게 시듦을 안다’제자의 변함없는 의리와 자신의 처지를 담았다스승은 글씨만을 가르친 것이 아니라세상을 보는 눈을 길러주었고제자는 예술만을 배운 것이 아니라스승의 정신과 의리를 익혔다추사와 이상적의 이야기스승과 제자를 넘어시대를 초월한 울림이다1844년 추사가 제주 유배시절에 그린 조선시대 문인화의 최고 걸작이다. 그림 속에 나타난 스승과 제자의 의리, 소재들의 상징하는 함축적 의미, 편지글 속에 담긴 문자향서권기는 학예일치의 깊고도 높은 격조를 보여준다. 청나라 문인들로부터..